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전기요금 줄일 수 있습니다.

300x250

전기요금 걱정되면 지금 확인하세요

 

 

2025년 전기요금 할인 정리 (정부지원 포함)

 

 

 

전기요금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.
매달 요금 고지서를 보고 ‘에어컨도 잘 안 썼는데 왜 이렇게 많이 나왔지?’ 고민해보셨다면,
사실… 알아서 깎아주는 할인은 없습니다.
신청한 사람만 할인받습니다.

오늘은 2025년 기준 전기요금 할인제도
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대상자 확인 → 신청방법 → 월 절약 금액까지      차례대로 보세요.

 

 

1. 복지할인 

  • 대상:
    • 기초생활수급자
    • 장애인
    • 독립유공자
    • 국가유공자
    • 차상위계층
  • 혜택:
    • 월 최대 16,000원 할인
  • 신청방법:
    • 한전 사이버지점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
    • 매년 갱신 필수 (미갱신 시 자동 해지될 수 있음)

* 전국 약 130만 가구가 대상인데도, 30%가 신청을 안 했다는 통계가 있습니다.

 

 

 

2. 다자녀 가구 할인제도

  • 대상: 만 18세 이하 자녀가 3명 이상 가정
  • 혜택:
    • 기본요금 30% 할인
    • 전력 사용량 1kWh당 할인 적용
  • 신청방법:
    • 가족관계증명서 첨부 → 한전, 복지로 통해 신청
    • 자동 연동 X, 직접 신청만 가능

* 1년에 약 10만 원 이상 절약 효과가 있으며,      ‘부모 모두 주민등록 상 동일 주소지’ 조건이 필요합니다.

 

 

3. 에너지 바우처 (여름·겨울 전기료 지원)

  • 대상: 소득 하위 10% 내외 + 에너지 취약계층
  • 내용:
    • 여름 바우처(7 ~ 9월)
    • 겨울 바우처(10  ~5월)
    • 세대별 지원 단가 : 1인 / 295,200원, 2인 / 407,500원, 3인 / 532,700원, 4인 이상 / 701,300원
  • 신청처:

* 전기요금 고지서에서 자동 차감됩니다. 은근히 놓치기 쉬운 복지형 혜택입니다.

 

 

4. 사회복지시설 전기요금 감면

  • 대상: 어린이집, 노인복지센터, 장애인     시설 등 등록된 사회복지시설
  • 혜택:
    • 기본요금 100% 감면 + 전력량요금 30% 감면
  • 신청방법:
    • 사업자등록증, 복지시설 등록증 제출 → 한전 신청

* 소규모 민간시설, 어린이집, 지역아동센터도 해당될 수 있으니 확인 필수!

 

 

5. 필수사용량 보장공제 (모든 가구 대상)

  • 대상: 월 전기 사용량 200kWh 이하 가정
  • 혜택:
    • 월 최대 4,000원 할인
    • 자동 적용
  • 조건:
    • 사용량이 201kWh를 넘는 순간 할인 미적용
    • 여름철 냉방기기 절제 사용 시 효과적

* 가정용 기본 할인으로, 무조건 챙기기 위한           에너지 절약 유도형 제도입니다.

 

 

한눈에 보는 할인 정리표

할인제도대상월 최대 할인액신청 필요 여부
복지할인 수급자·장애인 등 16,000원 O
다자녀 할인 3자녀 이상 10,000원+ O
에너지바우처 저소득 취약층 세대별 지원 참조 O
복지시설 할인 복지시설 최대 30% O
필수사용 공제 전 국민 4,000원 자동 적용
 

 

* 이 글을 본 후 할 일

 1. 내가 대상자일 수 있는지 체크
 2. 한전 사이버지점 또는 복지로 접속
 3. 지금 신청해서, 다음달 요금부터 적용받기

 

 

* 마무리 요약

전기요금은 사용량도 중요하지만 ‘신청’이 핵심입니다.
2025년 현재, 총 5가지 할인제도가 운영 중이며
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. 위 글을 참조하시고 정확한 내용은 관련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확인 바랍니다.

300x25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