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00x250
전기요금 걱정되면 지금 확인하세요
2025년 전기요금 할인 정리 (정부지원 포함)
전기요금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.
매달 요금 고지서를 보고 ‘에어컨도 잘 안 썼는데 왜 이렇게 많이 나왔지?’ 고민해보셨다면,
사실… 알아서 깎아주는 할인은 없습니다.
→ 신청한 사람만 할인받습니다.
오늘은 2025년 기준 전기요금 할인제도를
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대상자 확인 → 신청방법 → 월 절약 금액까지 차례대로 보세요.
1. 복지할인
- 대상:
- 기초생활수급자
- 장애인
- 독립유공자
- 국가유공자
- 차상위계층
- 혜택:
- 월 최대 16,000원 할인
- 신청방법:
- 한전 사이버지점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
- 매년 갱신 필수 (미갱신 시 자동 해지될 수 있음)
* 전국 약 130만 가구가 대상인데도, 30%가 신청을 안 했다는 통계가 있습니다.
2. 다자녀 가구 할인제도
- 대상: 만 18세 이하 자녀가 3명 이상 가정
- 혜택:
- 기본요금 30% 할인
- 전력 사용량 1kWh당 할인 적용
- 신청방법:
- 가족관계증명서 첨부 → 한전, 복지로 통해 신청
- 자동 연동 X, 직접 신청만 가능
* 1년에 약 10만 원 이상 절약 효과가 있으며, ‘부모 모두 주민등록 상 동일 주소지’ 조건이 필요합니다.
3. 에너지 바우처 (여름·겨울 전기료 지원)
- 대상: 소득 하위 10% 내외 + 에너지 취약계층
- 내용:
- 여름 바우처(7 ~ 9월)
- 겨울 바우처(10 ~5월)
- 세대별 지원 단가 : 1인 / 295,200원, 2인 / 407,500원, 3인 / 532,700원, 4인 이상 / 701,300원
- 신청처:
- 읍면동 주민센터
- 복지로 → https://www.bokjiro.go.kr
* 전기요금 고지서에서 자동 차감됩니다. 은근히 놓치기 쉬운 복지형 혜택입니다.
4. 사회복지시설 전기요금 감면
- 대상: 어린이집, 노인복지센터, 장애인 시설 등 등록된 사회복지시설
- 혜택:
- 기본요금 100% 감면 + 전력량요금 30% 감면
- 신청방법:
- 사업자등록증, 복지시설 등록증 제출 → 한전 신청
* 소규모 민간시설, 어린이집, 지역아동센터도 해당될 수 있으니 확인 필수!
5. 필수사용량 보장공제 (모든 가구 대상)
- 대상: 월 전기 사용량 200kWh 이하 가정
- 혜택:
- 월 최대 4,000원 할인
- 자동 적용
- 조건:
- 사용량이 201kWh를 넘는 순간 할인 미적용
- 여름철 냉방기기 절제 사용 시 효과적
* 가정용 기본 할인으로, 무조건 챙기기 위한 에너지 절약 유도형 제도입니다.
한눈에 보는 할인 정리표
할인제도대상월 최대 할인액신청 필요 여부
복지할인 | 수급자·장애인 등 | 16,000원 | O |
다자녀 할인 | 3자녀 이상 | 10,000원+ | O |
에너지바우처 | 저소득 취약층 | 세대별 지원 참조 | O |
복지시설 할인 | 복지시설 | 최대 30% | O |
필수사용 공제 | 전 국민 | 4,000원 | 자동 적용 |
* 이 글을 본 후 할 일
1. 내가 대상자일 수 있는지 체크
2. 한전 사이버지점 또는 복지로 접속
3. 지금 신청해서, 다음달 요금부터 적용받기
* 마무리 요약
전기요금은 사용량도 중요하지만 ‘신청’이 핵심입니다.
2025년 현재, 총 5가지 할인제도가 운영 중이며
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. 위 글을 참조하시고 정확한 내용은 관련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확인 바랍니다.
300x250